-
목차
</ins127큐비트가 64큐비트보다 느릴 수 있다? 물리 큐비트 수 같은 숫자 스펙만으로는 실전 성능을 알기 어렵습니다.
이 글은 양자 볼륨(QV)과 알고리즘 큐비트(#AQ)로 스펙표 숫자를 실제 성능으로 해석하고, 무엇을 우선 봐야 하는지와 최신 사례를 간단히 안내합니다.
QV는 장치의 종합 체력, AQ는 실전 문제 해결 성능을 뜻하며, 오류완화·컴파일러 조건 확인 포인트도 짚습니다.
1. 왜 양자 볼륨·알고리즘 큐비트를 알아야 하나요?
양자컴퓨터 뉴스를 보면 "세계 최초" "최고 성능" 같은 문구가 넘쳐납니다. 하지만 같은 큐비트 수라도 오류율과 연결성에 따라 실전 성능은 완전히 달라집니다.
양자 볼륨(Quantum Volume, QV)은 장치의 종합적인 품질을 측정하고 알고리즘 큐비트(Algorithmic Qubits, #AQ, 이하 AQ)는 실제로 사용 가능한 문제 크기를 나타냅니다. 이 두 지표를 알면 마케팅 숫자를 정확히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마라톤 대회에서 100m 기록만 보고 판단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단거리 기록이 좋다고 해서 42.195km를 잘 달리는 건 아니죠. 양자컴퓨터도 마찬가지입니다. 큐비트 숫자는 단순한 '하드웨어 스펙'일 뿐이고 실제 성능은 QV와 AQ로 평가해야 합니다.
2025년 10월 현재 양자컴퓨터 업계는 양자 볼륨 QV 3,355만을 돌파하며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런 숫자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양자 시대를 준비하는 첫걸음입니다.양자컴퓨터가 고전 컴퓨터를 능가하는 순간, 즉 양자 우월성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양자 우월성이란? Sycamore부터 IBM 논쟁까지] 글을 참고하세요.
2. 핵심 개념: 양자 볼륨(QV)과 알고리즘 큐비트(AQ) 이해하기
2.1 양자 볼륨(QV): 양자컴퓨터의 '종합 체력'
양자 볼륨은 IBM이 개발한 벤치마크로 너비와 깊이가 같은(m×m) 정사각형 무작위 회로를 얼마나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는지 측정합니다.
너비는 사용하는 큐비트 개수, 깊이는 연산 단계 수를 뜻하므로 m=10이면 10개 큐비트로 10단계 연산을 수행하는 회로입니다. Heavy Output 확률이 2/3 이상이면 통과하며 QV = 2^m으로 표현됩니다.
양자 회로를 한 번 실행하면 각 큐비트가 0 또는 1로 측정되어 비트열 하나가 출력됩니다. m=6인 정사각형 회로라면 6개 큐비트를 사용하므로 `101010`, `110011`, `000111` 같은 6자리 이진수가 결과로 나오고 가능한 비트열은 총 2^6=64가지입니다.
양자 볼륨 QV 테스트는 매번 랜덤하게 생성된 양자 게이트 조합으로 회로를 구성합니다. 같은 m값이라도 게이트의 종류와 순서가 다르면 완전히 다른 회로가 되며 이렇게 다양한 무작위 회로 패턴에서 일관되게 정확한 결과를 내는지 검증합니다.
Heavy Output은 고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각 회로마다 미리 계산한 이론적 확률이 중간값 이상인 비트열을 뜻합니다. 게이트 구성에 따라 각 비트열의 확률 분포가 달라지므로 회로마다 어떤 결과가 Heavy Output인지도 달라집니다.Heavy Output 확률이 2/3 이상이면 통과이므로 양자컴퓨터가 정확하게 작동한다면 100번 실행했을 때 이런 '확률 높은 결과'가 67번 이상 나온다는 것입니다.
[초보자 인포박스]"게이트에 따라 확률이 얼마나 달라지나요?"
같은 m=2 회로라도 게이트 조합이 다르면 확률 분포가 완전히 다릅니다.
예를 들어, H-CNOT 조합은 00:50%, 11:50%가 나올 수 있지만 H-T-CNOT 조합은 00의 경우는 46% 확률, 01의 경우에는 4%, 10의 경우는 4%, 11의 경우는 46%처럼 다른 분포를 보일 수 있습니다(구체적인 수치는 구현 방식과 노이즈 모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양자 게이트의 종류와 작동 원리가 궁금하다면 [양자 게이트는 어떻게 양자 컴퓨터를 움직이는가?] 글을 참고하세요.
[초보자를 위한 인포박스]"QV 2^25 = 33,554,432가 뭔 뜻인가요?"
이는 25큐비트 크기의 무작위 회로를 25단계 깊이로 충분한 정확도로 실행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2025년 9월 기준 Quantinuum H2 시스템이 달성한 세계 최고 기록입니다.
피트니스 센터의 종합체력 테스트를 생각하면 쉽습니다. 스쿼트·달리기·유연성을 모두 평가하듯이 양자 볼륨 QV는 게이트 오류율·큐비트 간 결합도·컴파일러 효율·크로스토크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합니다.IBM Quantum이 QV 개발 과정과 측정 방법론을 상세히 공개하고 있으니 더 깊이 이해하고 싶다면 [IBM Quantum Blog] 를 참고하세요.
2.2 알고리즘 큐비트 (AQ): 실전 문제 해결 능력
알고리즘 큐비트 AQ는 IonQ가 제안한 메트릭으로 실제 응용 알고리즘 세트를 너비 n×충분한 깊이(약 n²개의 2-qubit gate(CX) 연산, #AQ v1.0 정의 기준)로 실행했을 때 최악의 충실도가 1/e(약 37%) 이상을 모두 통과하는 최대 n값을 의미합니다.
[초보자를 위한 인포박스]"최악의 충실도"란?
여러 벤치마크 알고리즘을 테스트했을 때 그중 가장 낮은 충실도(성공률)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n=20으로 테스트할 때:
- QFT: 75% ✓
- Grover: 68% ✓
- QAOA: 38% ✓ ← 최악 (하지만 37% 이상)
- VQE: 82% ✓
이 경우 최악의 충실도는 38%입니다. 모든 알고리즘이 37% 이상이면 알고리즘 큐비트 #AQ=20으로 인정되지만 하나라도 37% 미만이면 실패합니다.
"오타 없이 타이핑할 수 있는 가장 긴 문장의 길이"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 문장이 길어질수록 오타가 나기 쉽지만 어느 길이까지는 정확하게 칠 수 있죠.강점과 한계
알고리즘 큐비트 AQ는 실제 응용 프로그램과의 연결성이 높지만 벤치마크 구성 방법과 컴파일러 최적화 기법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어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
2025년 현재 업계에서는 AQ 측정 시 조건을 명확히 공개하지 않으면 벤치마크를 조작해서 점수를 부풀리는 "게이밍(gaming)"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초보자를 위한 인포박스]
"#AQ 64면 뭘 할 수 있나요?"
64큐비트 크기의 실용적인 양자 알고리즘을 수백 개의 게이트 연산과 함께 실행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분자 시뮬레이션이나 최적화 문제 같은 실제 응용이 가능한 수준입니다.
IonQ가 공개한 [#AQ 측정 방법론과 벤치마크 결과]를 확인하면 더 구체적인 사례를 볼 수 있습니다.
2.3 QV vs AQ 한눈에 비교하기
양자 볼륨과 알고리즘 큐비트 비교 비교 항목 양자 볼륨(QV) 알고리즘 큐비트(AQ) 평가 대상 무작위 회로(종합 체력) 응용 알고리즘(실전 능력) 측정 방식 정사각형 회로 실행 실용 알고리즘 세트 실행 스케일 2^m (로그 스케일) n (선형 스케일) 해석 질문 "장치 체력이 좋은가?" "실전 경기가 가능한가?" 조작 가능성 낮음 (설계상 어려움) 중간 (컴파일, 오류완화로 부풀리기 가능) 제안 기관 IBM (2018-2019) IonQ (2021) 실무 결론:
두 지표가 모두 높으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스택의 균형이 우수한 것입니다. 한쪽만 높다면 특정 영역에만 튜닝되었을 가능성을 의심해야 합니다.
양자컴퓨터 벤치마크에 대해 더 깊이 알고 싶으시다면 IBM Quantum과 IonQ의 공식 기술 블로그를 확인해보세요. 최신 벤치마크 결과와 측정 방법론을 상세히 공개하고 있습니다.
3. 숫자 해석법: 언제 무엇을 봐야 하나요?
3.1 의사결정 흐름도
1. 장치 품질이 궁금한가요? → 양자 볼륨 QV를 먼저 확인하세요
2. 특정 워크로드가 돌아갈 수 있는지 궁금한가요? → 알고리즘 큐비트 AQ를 먼저 확인하세요3. 실제 도입이나 PoC를 결정해야 하나요* → 양자 볼륨 QV로 체력을 확인한 후 알고리즘 큐비트 AQ로 문제 크기를 검증하고 측정 조건을 반드시 체크하세요
3.2 빠른 해석 템플릿
기본 템플릿:
"본 장치는 QV=2^m과 #AQ=n(조건: ○○)을 달성했습니다. 이는 무작위 회로 기준으로 장치 체력이 m 수준이고 응용 벤치마크 기준으로 유효 문제 크기가 n임을 의미합니다."
3가지 성능 패턴:
(1) 균형형 (QV↑, AQ↑):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스택이 모두 우수합니다. 범용적인 활용에 적합하며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능 향상이 기대됩니다.
예시: Quantinuum H2-1 시스템 (QV 2^25), IonQ Tempo (QV와 #AQ 모두 우수)
(2) 튜닝형 (QV 보통, AQ↑):특정 응용 프로그램에 최적화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컴파일러나 오류완화 기법을 적극 활용했을 수 있으므로 측정 조건을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3) 체력형 (QV↑, AQ 보통):
하드웨어는 우수하지만 소프트웨어 체인이 미흡합니다. 스택 개선을 통해 #AQ가 크게 향상될 여지가 있습니다.
[초보자 팁박스]
"두 숫자 중 뭐가 더 중요한가요?"
목적에 따라 다릅니다. 장치를 평가하는 연구자라면 양자 볼륨 QV를, 실제로 문제를 풀어야 하는 개발자라면 알고리즘 큐비트 AQ를 우선 확인하세요. 가장 좋은 방법은 둘 다 확인하는 것입니다.
4. 측정 조건 체크리스트: 진짜와 가짜 구별하기
4.1 반드시 확인할 5가지 조건
(1) 컴파일러와 최적화:
어떤 컴파일러와 버전을 사용했나요? AI 기반 최적화를 적용했나요? Quantinuum의 TKET이나 IBM의 Qiskit 같은 툴을 사용했는지 확인하세요.
(2) 오류완화 여부:Zero-noise extrapolation이나 plurality voting 같은 오류완화 기법을 사용했나요? 사용했다면 어떤 방식으로 적용했는지 명기되어 있어야 합니다.
(3) 샷(Shots) 수:충분한 샘플 수를 확보했나요? 통계적 오차와 신뢰구간이 제시되어 있나요? 일반적으로 100-1000 샷 이상이 필요합니다.
(4) 재현성:제3자가 검증했나요? 동일한 조건에서 반복 측정이 가능한가요? 학술 논문이나 독립적인 벤치마크 기관의 검증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5) 공개 자료:측정 방법론이 논문이나 IR 자료에 투명하게 공개되어 있나요? 재현 가능한 코드나 데이터셋이 제공되나요?
[초보자용 비유]
시험 점수는 같은데 한 학생은 계산기를 사용하고 다른 학생은 사용하지 않았다면 공정한 비교가 될까요? 양자컴퓨터 벤치마크도 마찬가지입니다. 조건 없는 숫자는 의미가 없습니다.
4.3 실전 팁: 기사에서 조건 찾는 법
- 보도자료 끝부분:
"Methodology" 또는 "측정 방법" 섹션을 찾아보세요
- 각주 확인:
"조건부 기록" 같은 표시가 있는지 살펴보세요
- 기술 블로그:
회사 공식 블로그에 상세한 기술 포스트가 있는지 확인하세요
- arXiv 프리프린트:
학술 논문 초안이 공개되었는지 검색해보세요
양자컴퓨터 벤치마크 결과를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계신가요? [QED-C(Quantum Economic Development Consortium)의 표준 벤치마크 가이드라인] 을 참고하시면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확립할 수 있습니다.
5. 사례로 배우는 해석 연습과 흔한 오해
5.1 실전 사례 3가지 해석
[사례 A: 균형형 - Quantinuum H2]
- 장치 스펙:
QV=2^25(33,554,432, 2025년 9월 달성)
- 해석:
2025년 9월 기준 세계 최고 수준의 QV를 달성했으며, 5년간 매년 10배씩 QV를 증가시키겠다는 목표를 조기 달성했습니다.
하드웨어 충실도(99.9% 2-qubit gate fidelity)와 소프트웨어 스택이 모두 균형 잡혀 있어 중대형 응용 문제까지 처리 가능합니다.
Quantinuum은 QV를 주요 벤치마크로 사용하며 AQ는 측정하지 않습니다.
- 의사결정:
범용 양자컴퓨팅 연구나 상업적 활용에 가장 적합한 시스템입니다. 트랩 이온 방식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습니다. Quantinuum의 최신 투자 동향과 기업 전략이 궁금하다면 [퀀티넘 기업가치 100억 달러 분석]을 참고하세요.
[사례 B: 튜닝형 - IonQ Tempo (컴파일+오류완화)]- 장치 스펙:
#AQ=64 (컴파일러 최적화+오류완화 적용, 2025년 9월 달성)
- 해석:
2025년 9월 IonQ Tempo가 로드맵보다 3개월 앞당겨 #AQ 64를 달성했습니다.
컴파일러 최적화와 오류완화 기법을 적극 활용하여 높은 AQ를 기록했지만, 동일한 시스템이 오류완화 없이 측정하면 성능이 크게 낮아질 수 있습니다.
- 주의점:
측정 조건이 명확히 공개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실제 응용에서도 동일한 성능이 나올지 검증이 필요합니다. IonQ의 기업 전략과 경쟁사 비교 분석이 궁금하다면 [IonQ 전략적 성장: SPAC 상장, 정부 지원, 경쟁사 비교]를 참고하세요.
[사례 C: 체력형 - 가상 사례]- 장치 스펙:
QV=2^13(8,192), #AQ=16
- 해석:
하드웨어 품질은 우수하지만 소프트웨어 체인이 아직 미흡합니다. 게이트 충실도는 높지만 컴파일러나 알고리즘 최적화가 덜 되어 있습니다.
- 기회:
소프트웨어 스택을 개선하면 #AQ가 대폭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장기적으로 투자 가치가 있는 플랫폼입니다.
[참고 사례: 국내 도입 - KISTI IonQ Tempo]KISTI는 2025년 IonQ와 MOU를 체결하고 국가 양자센터의 주 파트너로 IonQ를 선정했으며, Tempo 시스템 도입을 추진 중입니다. 실제 도입 계획과 벤치마크 결과가 궁금하다면 [KISTI 아이온큐 템포 양자컴퓨터 완전 분석]을 확인해보세요.
5.2 흔한 오해 바로잡기
Q1. 큐비트 수가 많으면 성능이 무조건 높다?
❌ 오해입니다. 오류율과 결합도에 따라 유효 성능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127큐비트 시스템이 64큐비트 시스템보다 실제로는 느릴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물리적 큐비트 수가 아니라 '유효' 큐비트 수입니다.Q2. QV는 과학적이고 AQ는 마케팅 용어다?
❌ 오해입니다. 목적이 다를 뿐 둘 다 필요한 지표입니다. QV는 장치 품질을 #AQ는 실사용 가능성을 측정합니다. 어느 것도 마케팅 용어가 아닙니다.
Q3. 오류완화는 일종의 편법이다?
❌ 오해입니다. 오류완화는 NISQ(Noisy Intermediate-Scale Quantum) 시대의 현실적인 운영 표준입니다.
⚠️ 주의:
단, 어떤 오류완화 기법을 사용했는지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조건 없이 결과만 제시하면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양자 오류 정정의 기본 원리가 궁금하다면 [양자 컴퓨터는 왜 에러에 민감한가? – Quantum Error Correction(QEC)]을 참고하세요.
Q4. #AQ의 1/e 기준이 뭔가요?
약 37% 충실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최소 기준선입니다. 37%라고 해서 낮은 게 아니라 양자 상태의 특성상 이 정도면 충분히 유용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Q: 실제로는 얼마나 차이 나나요?
사례 A(균형형)와 사례 B(튜닝형)를 비교하면 같은 #AQ 64라도 QV 차이가 1000배 이상 날 수 있습니다.
QV가 높으면 다양한 문제에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지만 QV가 낮으면 특정 문제에만 최적화되어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Heavy Output이란 정확히 무엇인가요?
A. 고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미리 계산한 이론적 확률이 중간값(median) 이상인 비트열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64가지 가능한 출력 중 확률 순위 1~32위에 해당하는 결과들입니다. 양자컴퓨터가 정확하게 작동한다면 100번 실행 시 이런 '확률 높은 결과'가 67번 이상 나와야 QV 테스트를 통과합니다.Q2. #AQ의 1/e(37%) 기준은 왜 그렇게 낮나요?
A. 낮은 게 아닙니다! 양자 상태의 특성상 37% 충실도면 충분히 유용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수학적으로 의미 있는 기준선(1/e ≈ 0.368)이며, 실제 알고리즘에서 이 정도 충실도를 유지하면 양자 우위를 달성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더 낮으면 노이즈가 신호를 압도하여 의미 없는 결과만 나옵니다.Q3. QV 측정 시 매번 다른 회로를 사용하는 이유는?
A. 특정 회로에만 최적화된 시스템을 걸러내기 위함입니다. 무작위 회로 패턴에서 일관되게 좋은 성능을 내야 진짜 범용 성능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벤치마크 게이밍'을 방지하는 중요한 설계입니다.
Q4. QV와 #AQ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한가요?
A. 목적에 따라 다릅니다.
하드웨어 품질 평가: QV 우선 (연구자, 장치 개발자)
실제 문제 해결: AQ 우선 (개발자, 응용 연구자)
도입 결정: 둘 다 확인 + 측정 조건 검증 필수가장 좋은 방법은 둘 다 높은 '균형형' 시스템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Q5. 같은 #AQ 64라도 시스템마다 다를 수 있나요?
A. 네, 천지 차이입니다!QV 2^25인 시스템과 QV 2^10인 시스템이 같은 #AQ 64를 기록할 수 있습니다. 전자는 하드웨어 품질이 뛰어나 다양한 문제에 안정적이지만, 후자는 특정 벤치마크에만 최적화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측정 조건(컴파일러, 오류완화)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Q6. IBM은 왜 AQ를 측정하지 않고, IonQ는 왜 QV를 덜 강조하나요?
A. 각사의 기술적 강점을 반영합니다:
IBM/Quantinuum: QV 중심 → 초전도/트랩이온 방식의 하드웨어 품질 강조
IonQ: #AQ 중심 → 실제 알고리즘 실행 능력과 상용화 가능성 강조이는 마케팅 전략이기도 하지만, 각 기술 방식의 특성을 반영한 선택입니다. 객관적 비교를 위해서는 제3자 벤치마크 기관(QED-C 등)의 측정을 참고하세요.
Q7. 오류완화(Error Mitigation)를 사용하면 성능이 부풀려지는 건가요?
A. "부풀린다"는 표현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오류완화는 NISQ 시대의 현실적이고 합법적인 운영 표준입니다. 다만:
✅ 투명하게 공개: 어떤 기법을 사용했는지 명시 → 정당한 벤치마크
❌ 조건 숨김: 오류완화 사용 여부를 감춤 → 오해 유발, 벤치마크 게이밍핵심: 오류완화 사용 자체는 문제가 아니며, 측정 조건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8. 회사 발표 벤치마크를 어디까지 믿어야 하나요?
다음 5가지를 체크하세요:
(1) 컴파일러와 버전 명시 여부
(2) 오류완화 기법 공개 여부
(3) 샷(Shots) 수와 통계적 신뢰구간 제시
(4) 제3자 검증 (학술 논문, QED-C 등)
(5) 재현 가능한 코드/데이터 공개 여부이 중 3개 이상 충족하면 신뢰도가 높고, 2개 이하면 의심해봐야 합니다.
Q9. QV는 조작하기 어렵다는데 정말인가요?
네, 설계상 매우 어렵습니다:
무작위 회로 패턴 → 특정 회로 최적화 불가
정사각형(m×m) 구조 → 큐비트 수와 깊이를 동시에 늘려야 함
Heavy Output 검증 → 고전 시뮬레이션으로 정답 확인 가능반면 AQ는 벤치마크 알고리즘 선택, 컴파일 방식, 오류완화 적용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어 상대적으로 조작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론 IonQ는 투명하게 조건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양자기술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퀀티넘(Quantinuum) 기업가치 100억 달러: NVIDIA 투자, H2 성능, IPO 2027 총정리 (1) 2025.09.17 포스트 양자암호 완전 가이드: 2024 NIST 표준 ML-KEM부터 Google·AWS 기업 도입까지 (3) 2025.08.30 2025 양자 보안 프로젝트 총정리: 미국·유럽·한국 주요 기업 현황 (11) 2025.08.13 양자 키 분배(QKD) 완전 해설 – 빛으로 만드는 도청 탐지 가능 통신 (14) 2025.08.10 양자 컴퓨터가 오면 기존 암호는 다 뚫린다? 2025 양자 보안 대응 가이드 (6) 2025.07.31